728x90
반응형
1. 오늘의 핵심 뉴스 요약
- 국제 인권기구, AI 시스템 인권 준수 촉구
→ UN 인권이사회는 국가·기업이 AI 시스템 도입 시 인권 기준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lex.com+3en.wikipedia.org+3dlapiper.com+3thetimes.co.uk+5jurist.org+5whitecase.com+5. - 미국 연방, 10년간 주(州) AI 법안 중단 제안
→ 연방 차원 모라토리엄 도입 논의가 뜨겁고, 트럼프 전 대통령 예산안에 포함돼 상·하원 갈등 요소로 부상 중입니다 . - 뉴욕주, AI 감독 법안 통과
→ 상·공공 시스템에 대한 AI 투명성·책임성 강화 법안이 주 의회를 통과하면서 주 단위 선제 대응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ncsl.org+3whitecase.com+3dlapiper.com+3. - 캘리포니아, AI 안전 거버넌스 보고서 발표
→ 생물·핵위협, 부정행위 등 ‘돌이킬 수 없는 위험’을 강조하며 안전·투명성 제고 방안 촉구 zdnet.co.kr+6news.mt.co.kr+6biz.chosun.com+6. - EU AI Act, 실제 적용 가시화 중
→ 위험도 기반 규제 체계가 2024년 8월부터 시행되기 시작했고 2026년까지 전면 적용 예정 dailymontanan.com+14en.wikipedia.org+14dlapiper.com+14.
2. 🔍 글로벌 AI 규제 동향 정리
• UN 인권 기준 적용 강화
- AI가 인권 침해, 프라이버시 위협, 편향 등 가질 수 있는 위험성에 대비해 인권 준수 지침 강화 .
• 미국: 주 vs 연방 법률 갈등
- 주 차원: 뉴욕·몬태나 등 주(州)에서 투명성·책임성 법안 제정 중 whitecase.com+7ncsl.org+7biz.chosun.com+7.
- 연방 차원: 일부 연방 논의에서 10년간 주별 AI규제 법안 효력 정지 제안. 기술 기업 로비도 활발 news.mt.co.kr.
- 캘리포니아: “돌이킬 수 없는 위험” 대두 → 보고서 + 실효성 있는 거버넌스 체계 모색 .
• 유럽연합: AI Act 단계적 시행
- 위험 수준 기반의 네 가지 분류 및 일반·고위험 시스템 수준별 규제 적용 .
- EU외 기업도 대상 포함 → 글로벌 기업은 대응 필수.
3. 💡 시사점 및 전략 제언
-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:
- 글로벌 진출 기업은 EU Act 사전 검토 → 위험 모델 등 적용 수준 파악
- 국내 서비스도 투명성·책임성 제고 → 인증·보고 시스템 구축 필요
- 주요 리스크 키워드 대응:
- 인권·편향·보안·투명성 등 지속 모니터링
- 인권기준 조항 채택 또는 내부 시스템에 반영
- 글로벌 API 및 시스템 설계 시:
- 고위험 시스템 평가 기준 확보
- AI 내부자의 ‘이상행동 감지’ 모듈 추가
728x90
'정보 &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6월 20일 오늘의 주요 뉴스 3가지 요약 (0) | 2025.06.20 |
---|---|
2025 장마철 시작! 장마 기간과 생활 꿀팁 총정리 (2) | 2025.06.20 |
6월 일본 날씨 정리|장마철 여행 준비 이렇게 하세요! (2) | 2025.06.16 |
여름철 무더위 건강관리 꿀팁|폭염 대비 이렇게 하세요! (0) | 2025.06.16 |
오늘의 3대 급상승 뉴스|2025.06.16 브리핑 (0) | 2025.06.16 |
댓글